일단, 모든 ETF를 살펴본건 아니라서 대부분 개인적 판단임을 전제로 먼저 밑밥을 깔기로 하자.
특정 종목을 잘 골랐을 적에는 화제성과 이슈로 인해서 급격한 수익률을 얻을 수도 있지만, ETF는 분산투자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런 급등락이 일어나는 경우는 잘 없다.
따라서 그런 장단점이 명확하다고 할 수 있는데, 지수전체에 투자하거나 분산투자하고 싶을적에, 또는 매수하고싶은 종목이 수십만원 백만원대의 종목이락서 매수, 매도하기가 쉽지 않을 때 등등의 의유로 ETF를 고르게 된다.
물론 ETF는 하락시 수익을 내는 인버스나 원자재 자체에 투자할 수 있는 파생상품도 있다
개 중에서 시총 상위종목들을 매수하고 싶다면 KOSPI 200지수를 추종하게 만들어놓은 ETF를 보면 되는데,
사실 우리나라는 삼성전재가 전체 지수 흐름을 주도하고 있기 때문에 개미들도 작년부터 삼성전자를 집중적으로 매수해왔다.
ETF에서 삼성전자를 가장 많이 포함하고 있는건 뭘까?
우선 KODEX 홈페이지에 가서 종목으로 검색하기를 누르면 KODEX ETF 중에서 해당 종목을 포함하고 있는 ETF들을 보여준다.
삼성전자를 검색하면, 삼성전자가 들어간 ETF를 볼 수 있는데, 상위 5개만 추리면 위 ETF들을 볼 수 있다.
삼성전자를 가장많이 담고 있는게 32.48%의 KODEX MSCI KOREA TA라는 ETF인데, 사실 그 아래순위의 몇개와는 별 차이는 안난다.
거래량이 충분한 ETF를 고르려면 KODEX 200이 나을 수 있다.
그런데 가격이 4만원대로 아주 저렴하지는 않다. 그동안 많이 올랐단 얘기지. KOSPI 200지수를 추종하게 되어 있으므로 시총 비중에 준해서 분포가 되어 있을 것이다.
순위는 이처럼 보는바와 같다. 전반적인 코스피 흐름과 거의 동일하게 간다고 보면 되겠다.
KINDEX 200도 있는데, 구성비중과 비율 가격 등 거의 비슷하다.
참고로 약간의 차이이긴 하지만 삼성전자 함유량이 가장 높았던 KODEX MSCI KOREA 의 구성종목은 다음과 같다.
큰 차이는 안나고 어차피 삼성전자 이하로는 비중이 낮은편이어서 그냥 종목투자라기 보다는 삼성전자를 좀 저렴한 가격에 매수한다고 보면 될거같기도 하고, 지스 등락과 동일하게 간다고 보면 될것 같다.
KODEX200이나 KINDEX200이 가격대가 4만원대여서 다소 부담이 된다면, KODEX MSCI KOREA가 1만원대이므로 좀더 라이트하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거래량은 좀 작아서 호가가 조밀하게 움직이지는 않는다.
특정분야가 아닌 지수자체에 대한 투자, 또는 삼성전자와 상위 종목에 대한 분산투자가 목적이라면, 요런 ETF를 매수해두는게 좋을 것 같다.
'머니 보고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홈텍스에서 소득금액증명원 발급받는 방법을 알아보자. (0) | 2021.02.10 |
---|---|
SK바이오사이언스 공모주 청약 관련 정리와 투자계획에 대한 개인적 생각 (0) | 2021.02.05 |
3차 재난지원금 받기. 경기도 재난기본소득 신청 완료 (0) | 2021.02.01 |
경기재난기본소득 문자가 왔다. 2월1일부터 신청 2차 재난지원금 (0) | 2021.01.29 |
원자재 중에서 금ETF, 은ETF 종류 알아보자. (0) | 2021.01.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