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머니 보고서

미래에셋자산운용에도 바이오ETF라 할만한 것. TIGER 헬스케어

by 키레네00 2021. 1. 12.
728x90
반응형

미래에셋자산운용 TIGER 헬스케어

 

TIGER ETF쪽에서는 바이오로 검색하면 뭐가 안나왔었는데, 헬스케어라는게 있었다.

 

이름이 ... 바이오가 아니라 헬스케어라고 하는 이유가 있을까???싶긴한데,

 

기초지수를 KRX 헬스케어지수를 기초로 하고 있어서 그런 것 같다.

 

와..그런데 금액이 상당하네, 찾아보니까 상장일이 2011년도다. 10년 가까이를 자리를 지켜서 그랬군. 역시 장기투자를 꺾을 수 있는건 아무것도 없는 것인가.

 

다만 작년 12월깨부터는 좀 비실비실해서 같은 기간 코스피가 움직인 것에 비하면 단기수익 추구하는 사람들로부터는 조금 외면받았을 듯 한데 바이오계열이 대체로 현상태가 다 그렇다.

 

이러다가 뉴스나 이슈한방 묵직한거 나오면 죽죽 오를런지도 모르겠지만,  

 

중간에 5만원대에서 다시 1만원대로 초기화 비슷하게 된 정황이 차트로 보이는데 그걸 뭐라고 하는지는 모르겠다. 초기화? 결산?...주식의 액면분할 같은 것인가? 아니면 펀드가 정기적으로 기준가를 다시 1000원으로 맞추는 재설정같은 것인가?? 

 

ETF란 녀석도 사정이 복잡한 친구로구만. 

 

여튼 이 ETF는 상장가가 13000원정도 왔다갔다한걸로 보이는데, 5만원대의 묵직~한 ETF가 되어 있다. 

 

최초 상장가가 처음에는 10000원으로 시작하는줄만 알았더니만 ETF마다 다른 것같다. 대체로 1만원대에서 시작하는듯 한데 1만원 미만에 상장되는 녀석들도 있어서 원..복잡하게시리. 

 

TIGER 헬스케어의 기초 지수

이 ETF는 KRX 헬스케어 지수를 따라간다고 한다. 꼭 제약뿐민아 아니라 설명에 나오듯이 의약품제조업, 의료정밀산업군의 20종목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한다. 기초지수를 따라가기 위해 지수 구성하는 종목 전체를 편입하고 일부는 알아서 운용하는 듯. 

 

그래서 이 ETF가 헬스케어라는 이름을 가지게 된 것인가 싶다. 

 

 

구성 종목 비중

역시 셀트리온이 가장 비중이 높다. 셀트리온과, 셀트리온헬스케어, 삼성바이오로직스, 신풍제약, 유한양행 순으로 내려간다. 

 

이런 구성이 다른 바이오 ETF들도 비슷한 상황이긴한데, 단 예외적으로 KODEX바이오에는 셀트리온이 상위에 보이지 않는다. KODEX바이오는 특정 종목에 편중되어 있지 않고 상당히 많은 종목에 개별 3%이내로 대부분 분산되어 있다. 

 

참고로 KODEX바이오는 FnGuide 바이오 지수를 따라간다. 

 

여튼, 헬스케어지수를 따라가는 TIGER 헬스케어는 금액대가 ETF치고는 너무 비싸서인지 거래량이 아주 많지는 않지만, 오랜세월 성장해왔음이 느껴지는 녀석이다. 

 

ETF이름이 대체로 추종지수 명칭을 따라가는 것이라고 전제하고 보면, 바이오계열과 헬스케어계열은 추구하는 바가 다소 다르다고 할 수 있겠군.

 

ETF 중에는 코스닥 바이오 관련종목도 있고 하니 좀더 살펴보도록 해야되겠다. 

 

728x90
반응형

댓글